부동산 이야기

2023년 서울 강서구 최저가 아파트 TOP5 (전용59 편)

한티스푼 2024. 1. 16. 16:06
반응형

저렴한 아파트

가장 저렴하게 투자할 수 있는 서울 강서구 아파트 TOP5 소개하겠습니다.

일반인 기준 투자상품을 찾기란 여간 번거롭고 어려운 일이 아닐 수 없죠, 웬만한 서울 입지의 아파트들은 고가를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투자를 망설이게 합니다. 그래서 정말 현실적으로 투자할 만한 가격대의 아파트를 소개하려고 하는데요. 바로 서울시 강서구의 최저가 아파트 소개입니다.

앞으로 여러 지역들을 순차대로 소개해 드릴거지만 왜 첫 시작이 강서구냐 하면 마곡지구와 여의도 접근성과 더 나아가 공항, 경기서부 접근성 등 직주근접 요소와 주변 다양한 편의시설 대비 서울에서도 저가 주거시설이 있기 때문인데요. 아마도 이렇게 생각하실 수 있겠네요, "지역이 별로니 당연히 저렴한 것" 맞습니다. 하지만 그렇기 때문에 현실적으로 낮은 가격으로 투자 상품을 찾을 수 있고 생각보다 그럭저럭 평균이상의 입지를 보유하고 있는 곳도 있습니다.

전용59 최저가 아파트 5개 단지

단위:면적(㎡), 가격(만원)

전용면적 59㎡대 아파트 중 세대수 150세대 이상 기준이지만 근접한 148세대 태영방송인 아파트도 포함시켰습니다.

평균 적으로 매매 실거래가 최저 46,000만원부터 56,000만원까지며 네이버 매물 가격은 47,000만원부터 64,000만원대로 형성돼있습니다.

 

화곡동 태영방송인 아파트

태영방송인 아파트 입지

초품아를 방불케 하는 아파트로 신정초교까지 도보(4분), 가깝고 김포공항과 직주근접의 마곡지구, 여의도가 인접 바로뒤 봉제산, 공원이 위치해 숲세권 요소를 갖추고 있지만 대신 대중교통의 접근성이 낮고 인근 도보 이용가능 편의 상업시설 부재가 아쉬움.

 

 방화동 마곡중앙하이츠 아파트

마곡중앙하이트 아파트 입지

지하철 5호선 개화산역 초역세권, 아파트 단지내 도보(4분)로 방화초교 등교가능 인근 개화산, 서울식물원있으며 직주근접 마곡지구와 여의도, 일산 등 주요 지역 접근성 양호, 김포공항과 롯데 백화점, 롯데마트 접근성 우수함

 

마곡한숲마을대림, 치현마을동일스위트, 방화3단지 청솔 아파트

마곡한숲마을대림 아파트, 치현마을동일스위트 아파트, 방화3단지청솔 아파트 입지

방화동 마곡중앙하이츠 아파트와 비슷한 입지로 치현마을동일스위트를 제외한 나머지는 초등학교 접근성이 좋으며 방화3단지청솔 아파트는 방화역 역세권에 속함 그 외 모든 요소는 비슷함

 

전용59 최저가 아파트 TOP 5

개인적인 생각으로 단지 규모와 입지 수준, 공급 평당가를 5점 만점으로 최종 비교시

전용59 최저가 아파트 TOP 5 (평균가격 기준)

반응형

공동 TOP 3, 방화3단지청솔, 한숲마을대림 아파트로 청솔은 좋은 입지와 단지 컨디션에 반해 5개 단지중 높은 평당가 거래, 한숲마을대림 아파트는 적정한 단지 컨디션과 좋은 입지에 반해 높은 평당가 형성으로 선정했어요

공동 TOP 2, 동일스위트리버 아파트, 태영방송인 아파트로 두 곳 모두 적정한 단지 컨디션과 입지를 보였고 비교적 중저가 수준으로 선정했어요

TOP 1, 마곡중앙하이트 아파트로 5개 단지 비교시 제일 규모가 큰 단지로써 입지 또한 우수하며 공급 평당가 기준 합리적인 가격대를 형성하여 최고 점수받았습니다.

이렇게 2023년 실거래된 강서구 아파트 중 최저가 아파트 단지를 알아봤는데요 어떠신가요? 물론 강남과 같은 고가의 좋은 아파트 단지는 아니지만 나름 그 지역만의 좋은 입지에 있는 아파트 단지를 합리적인 가격에 매매하거나 투자할 수 있겠네요. 물론 현장을 바라보는 개인적인 기준과 각자의 생각이 다르고 본글에서는 많은 요소들을 깊이 비교하기보단 간단히 가격과 입지, 단지규모 등을 비교해 봤어요.

해당 아파트들의 상태를 더욱 자세히 비교해 보시면서 추가로 해당 지역의 비슷한 가격대를 형성한 많은 아파트들이 있으니 비교해보면 어떨까요?

 

<2023년 실거래가 기준이며 아파트 150세대이상 단지, 전용59, 84㎡ 기준, 매물호가 네이버 부동산 매물 기준. 본문상 거리 및  도보 등 교통 정보는 네이버 지도 데이터 활용, 평당가는 공급면적 기준, 본문자료 24.01.16 기준>

반응형